Tag Archives: 민담

남대문 시장의 큰손 박물군자 이야기

요즘은 도서관에서 서울 지리와 민담 자료를 찾아보고 있는데, 손에 잡히는 대로 펼친 민담집에서 전에 본 적 없는 이야기를 발견했습니다. 지금 책이 앞에 없어서 (엄청나게 육중해서 집에까지 가져오기가 좀…) 기억을 더듬어 제 표현대로 적습니다. 원래 민담이란 그런 거기도 하니까요.

남대문 시장 사진

오늘날의 남대문 시장

조선시대에 남대문 시장에는 성은 박, 이름은 물군자라고 하는 (아무래도 뻥카 같지만…) 큰 상인이 있었어. 이 사람은 물건 가격이나 가치라면 모르는 게 없이 훤히 꿰둟고 있어서 있어서 온 시장 장사치가 찾아와서 가격을 묻지 않았겠어. 박물군자가 물건 가격을 정확하게 알려주니까 속임수 당하는 일이 없고, 파는 사람하고 살 사람 중개도 해줘서 박물군자는 돈도 많이 벌었고 신용도 참 좋았지.
박물군자가 얼마나 물건값을 잘 아느냐 하면, 한번은 어떤 사람이 누가 알아볼까 시험해 보려고 짚에다가 댓 냥을 집어넣고 꼬아서 시장 바닥에 버렸어. 시장 바닥에 버린 짚을 아무도 눈여겨볼 리가 없는데, 박물군자는 지나가다가 떠억 멈춰서더니 이야, 저 짚을 줍는 사람은 다섯 냥 벌겠다 했다는 거야.
어쨌든 그런 사람이야. 그러다가 어느날 밤, 박물군자는 큰 거래를 성사시키고 취기도 좀 오른 채로 집에 가고 있었어. 기분도 좋겠다, 평소하고는 다른 길로 집에 들어가기로 했지.
걸어가다가 보니 길가에 다 무너져가는 폐가가 하나 있었어. 그런데 왠걸, 사람도 안 살 거 같은 집인데 안에서 어떤 여자가 너무 구슬프게 우는 소리가 들리는 거야.

솔직히 얼마나 소름이 끼쳤겠어. 나같으면 그대로 도망갔을 것 같은데, 박물군자는 좀 귀기울여 봐도 귀신이 아니라 사람 곡성 같아.

이게 무슨 일인가, 이상타 싶어서 가려고 해도 발이 안 떨어지네. 그래서 다 허물어진 대문 앞에 가서 이리 오너라~ 불렀지. 몇 번 부르니까 옷은 남루하지만 기개가 꼿꼿하고 품위있는 노인이 나와.
박물군자 왈, 내가 지나가다 보니까 이 집 안에서 어떤 부인이 우는 소리가 들려서 무슨 일인가 좀 알고 싶어서 들렀다고 했어. 노인은 남이 알아서 좋을 것 없는 집안일이라고 정중히 보내려고 하는데, 우리의 박사장은 그냥 안 간 거지. 사람이 서로 돕고 살아야지, 도움을 주면 나중에 도움도 받고 좋은 거 아니냐고 설득하니까 노인이 그것도 그렇다고 들어오라고 그랬어.
밖에서 봐도 쓰러져가는 집이었지만 안에 보니까 정말 귀신나오게 생겼데. 을씨년스러운 집안에 사람이라고는 노인하고 노부인밖에 없는데, 아까 통곡하고 있던 건 부인이었어.

사정을 들어보니까 노인은, 아 부르기 쉽게 김대감이라고 하자. 김대감은 평생 청렴한 관리였는데, 부부 슬하에 자식이 없었어. 은퇴해서 나라 녹을 그만 먹게 되고 나니, 축재해놓은 것도 없고 돈이 없어진 거지. 그래서 하인들은 다 도망가고, 모아놓은 돈도 다 쓰고 그나마 있는 물건 다 팔아 끼니를 때우다 보니까 이제 정말 아무것도 없는 거야. 부인이 말하길, 자기는 자식도 못 낳아준 칠거지악을 했는데 이제 영감이 굶어 돌아가시게 생겼으니 너무 가슴이 아파 울고 있었대.

박물군자는 이 노후대책 대실패 커플을 어떻게 살려볼 길이 없나 궁리를 하지. 집안에 뭐 하나라도 더 팔아서 돈을 만들 물건이 없나 하고 둘러보는데, 하도 팔아먹었던지라 장대를 휘둘러도 걸릴 게 없어.
그러다가 김대감이 깔고앉은 방석이 눈에 딱 들어오는거야. 삽살이 털로 만든 방석인데, 앉아있으면 엉덩이가 뜨뜻해진다나.

박물군자가 벌떡 일어서면서 그 방석 나 좀 줘보라고, 이걸로 돈 만들어오겠다고 그래. 노부부는 이 낡은 방석이 무슨 돈이 되냐고 그러는데, 이미 봤겠지만 박사장으로 말하면 조르기가 특기인 사람 아니겠어. 내가 알아서 해드리겠다며 박물군자는 그나마 김대감 할아버지 엉덩이 뜨뜻하게라도 해주던 방석을 들고 날르지. 김대감하고 마님은 왠 미친놈인가 했을 거야.

이 낡은 개털 방석을 들고 박물군자는 그대로 남대문 시장으로 돌아가서 잘 아는 도매상네 집으로 가. 그리고 밤이 늦었는데 상인을 막무가내로 깨우네? 부르기 편하게 도매상은 이사장이라고 할게. 이사장이 아니 박사장 이 시간에 왠일인가 하니까 박사장이 이사장님 이 방석 좀 사셔야겠습니다 하는 거야. 아니 그런 다 떨어진 방석을 사다니? 이사장은 황당한 거야. 얼마에?
그러니까 이 천하의 물건값을 모르는 거라고는 없는 박물군자 하는 소리, 백 냥만 주십쇼 그래. 오늘날로 치면 그게 1억원이라나.
오밤중에 일어난 이사장, 그대로 뒷목잡고 쓰러지실 뻔하지. 아니 이 사람아, 누가 그런 방석을 백 냥을 주고 사? 여기서부터 박사장 다시 매달리기 작전 들어간다. 이사장님, 제가 언제 허튼소리 하는 거 보셨습니까? 제가 언제 값을 속이데요? 이거 사면 이사장님 가게 잘 되실 걸 아니까 제가 특별히 팔려고 하는 겁니다.
그 그건 맞지 박사장.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이건 좀…
이사장님이 이 방석 안 사시면요, 그대로 가져다가 저 건너편 최사장님께 팔 겁니다. 그럼 최사장님네가 잘 되고 이사장님네는 안 될 텐데, 그래도 정말 괜찮으세요? 그때 가서 후회하시나 안하시나 두고 봅시다.
원래 사람이란 게 말이야, 자기가 잘 된다는 소리에는 주저를 좀 해도 자기보다 남이 잘 된다는 말에는 벌써 아랫배가 슬슬 아파오잖아. 이사장은 결국 항복해버리지. 알았네 알았어, 내 자네를 믿고 그리 하지. 틀림없는 거겠지?
어디 이를 말씀입니까, 싸장님. 저 그러면, 지금 선금으로 석 냥 주시고 나머지는 내일 이러저러한 곳에 있는 집으로 갖다주시는 겁니다. 정말 후회 안하실 겁니다. 방석은 꼭 잘 보관하셔야 합니다.
이사장은 좀 입맛이 썼겠지만 그게 최사장한테 안 간 것만 해도 어디야. 박물군자는 계약금 세 냥을 챙겨다가 당장 굶고 있는 김대감 내외가 먹을 음식부터 사서 그 집으로 돌아가.
음식 싸들고 다시 나타난 박물군자를 보고 노부부는 놀라서 어쩔 줄을 모르는데, 박사장은 일단 밥부터 먹고 보자고, 이러고도 돈이 남았다고 거스름돈을 드리지. 그리고 셋이서 야참 먹은 후에 돈 만든 게 이게 다가 아니고 내일 아흔일곱 냥이 들어온다고 하니까 김대감네는 반신반의해. 세상에 어떻게 그 낡은 개털 방석으로 백 냥을 만들어?
그런데 정말로 다음날에 이사장네서 보낸 돈짐을 지고 찾아와서 아흔일곱 냥 계산해서 주고 가네. 노부부는 상상도 못한 돈을 만져보고 서로 눈이 이만해져서 보고 있는데, 박물군자가 그래. (집에서 재워줬거나 아니면 아침 일찍 김대감네로 출근했나봐.) 대감님, 마님, 이 돈 그대로 쓰시면 얼마 안 가서 또 굶습니다. 장사를 해야 합니다. 저도 밀양 박씨로서 양반으로 태어났지만 남대문 장사치로 살아가고 있는데, 제가 점포 하나 얻어드리고 다 가르쳐드릴 테니까 돈을 불려서 노후대책 좀 해보시렵니까?
김대감하고 마님은 막, 우리 은인한테 무슨 토를 달겠냐고. 시키는 대로 다 하겠다고 그러지. 그래서 그날부터 두 노인네 제2의 인생을 시작한 거야. 그 뒤에는 박물군자의 노하우가 있으니 성공은 따논 당상 아니었겠어?
그렇게 몇 년 열심히 장사를 하니까 아흔 일곱 냥 초기투자액을 불리고 불려서 무려 삼만 냥을 번 거부가 되어있던 거야. 두 부부가 당장 일 관두고 평생 쓰기만 해도 다 못쓸 만큼 돈을 번 거지.
그러자 박물군자가 두 사람에게 물어봐. 김대감님, 마님, 두 분께서 이제 삼만 냥이 있으신데, 이 중에서 일만 냥 떠나보내도 생활에 지장은 없으시겠지요?
김대감네가 그래. 이만 냥이면 두 늙은이 은퇴해서 평생 써도 한참 남고, 박사장이 사실 돈 다 벌어준 은인인데 당연히 시키는 대로 해야지 하고 아주 혼쾌하게 대답을 하지.
박물군자가 끄덕끄덕…하더니 하는 말이, 그렇다면 지금부터 제가 시키는 그대로 하십시오. 사람을 보내서 남대문의 이러저러한 도매상을 하는 이사장님네로… 하고 쑥덕쑥덕 지시를 해.
다음날, 남대문 도매상 이사장네에 박물군자가 놀러와 있는데 누가 찾아와서 물건 좀 사자 그래. 뭘 찾으시냐 하니까 여기서 보관하고 있는 개털 방석이 필요하다는 거야.
으잉, 방석? 이사장님은 그런 물건이 있었는지도 잊어버리고 있었던 거지. 그러니까 박사장이 아 왜 그때 그거 있지 않습니까 해서 찾게 시키는데, 아무래도 다 낡은 방석을 백 냥에 사고 입맛이 썼던지 대들보 위에 대충 쑤셔넣고 있었던 모양이야.
직원 시켜서 내리게 해서 보니까 방석은 낡다 못해 곰팡이 슬고 군데군데 썩었어. 그런데 찾아온 손님이 이 물건을 꼭 만 냥에 사야겠다는 거야. 그리고서는 사태 파악이 안 된 이사장이 황당하게 보는 동안 준비해온 만 냥을 내려놓고 그 방석을 들고 가버린 거지.
이사장님 너무 놀라 뒷목 잡고 쓰러지시게 생겼는데, 옆에 박물군자가 태연하게 한 마디 하지. 그러게 내가 뭐랬습니까? 그 방석을 사야 이사장님이 잘 된댔지요? 그래서 남대문 상인들이 역시 박물군자의 말은 틀림이 없다고 다들 감탄을 했대.
여러모로 박물군자 이야기는 우리나라 민담으로서는 특이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지식이 일천하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소설이나 설화에 상업이 소재로 등장하는 일은 좀처럼 없고, 허생전에서처럼 등장하는 일이 있을 때에도 투기와 사재기 같은 부정적인 각도인 것 같거든요. 반면 박물군자 이야기는 신용과 정직성, 정당한 대가 등 상업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고, 청렴한 공직이라는 유교적 삶을 오히려 굶어죽기 딱 좋다고 꼬집고 있습니다.
박물군자 자신도 양반 태생의 상인이라는 설정으로 보아서는 양반 계층이 몰락하고 상업이 조금씩 발달한 조선 후기에 나타난 이야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또 다른 가능성이라면 일본 이야기가 일제시대 때 건너와서 우리식으로 변형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고요. 혹시 아시는 분 있나요?
박물군자 이야기가 우리나라 설화가 맞다면 알려지지 않은 건 참 아쉬운 일입니다. 너도나도 고시와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거나 돈과 권력에 집착하는 시대에, 박물군자 이야기에 나타난 정직한 상업, 베푸는 상업은 정말 소중한 모습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어쨌든 참 기분좋게 읽은 이야기라서 조금이라도 알려볼까 하여 이렇게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