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로망

글 쓰는 건 딱히 부끄러워할 일은 아니지만,
혼자 있을 때 하고 끝나면 손을 씻도록.
– 로버트 하인라인 (Robert Heinlein)

RPG를 하면서 느끼는 재미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큰 것은 개별적 로망이랄까, 환상이랄까, 마음을 끌어당기는 어떤 원형이나 유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특히 참가 (플레이)를 할 때 만드는 주인공 (PC)은 이 로망의 지배를 많이 받습니다. 전담해서 계속 맡는 이상 그 로망에서 벗어나면 제대로 표현하기도 어렵고요.

그런 의미에서 위 하인라인의 인용구는 RPG에도 적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집필과 달리 독자적인 활동도 아니고 사회적인 놀이인 만큼 타인에게 자신의 꿈과 백일몽을 맡겨야 한다는 점에서 더 용기와 신뢰가 필요하지 않나 해요. RPG 팀이 종종 폐쇄적인 성격을 띠는 것도, 또 플레이가 잘 안 되면 그걸로 끝나지 않고 감정이 상하기 쉬운 것도 그만큼 깊은 신뢰를 전제하고 자신의 많은 것을 드러내서일지 모릅니다.

내 꿈을 그대 발 밑에 펼치었으니
내 꿈을 딛은 그대, 조심해서 딛어주오.
– W.B. 예이츠 (William Butler Yeats)

로망이 재미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RPG를 더 재밌게 하려면 자신의, 그리고 타인의 로망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이 플레이하고 얘기 나누다 보면 감이 올 수 있고, 또 플레이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면서 무엇을 원하는지, 또 어떤 것은 싫은지 파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규칙 역시 자유로운 개별적 표현과 전체적 조화를 지원한다면 더욱 도움이 되겠지요.

개개인의 극적 욕구와 전체적인 조화와 맥락은 어느 하나도 버릴 수 없습니다. 플레이의 전체적인 모습이 놀이의 결과물이라면 개별 참여자의 극적 욕구는 그 동력이니까요. 그리고 그 두 가지를 이어주는 것이 참여자 사이의 의사소통, 서로 상대의 꿈을 딛고 함께 걸어가는 과정이겠지요. 각자의 로망, 그리고 모두의 놀이를 위해.

보라, 우리는 꿈의 재료일지니
작은 삶은 잠과 함께 끝나는도다.
– 셰익스피어의 ‘폭풍’ 4막 1장 中

6 thoughts on “우리들의 로망

  1. orches

    옳은 말씀이라고 생각해요 ^^ 최근 들어서 시트를 작성하는.. 하다못해 간략하게라도 적어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단순히 적어놓은 것을 떠나서 ‘플레이어의 성향은 어떠한가, 캐릭터를 만드는 데 영향을 준 요소는 무엇인가’ 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것 같거든요. (덧붙여서, 제 캐릭들은 천사형이 아닙니둥 ;ㅅ;)

    Reply
    1. 로키

      말씀대로 진행자가 그런 로망 파악을 하게 도와주는 게 중요하죠. (알려줘도 신경 안 쓰는 진행자는 하루빨리 버려야(..)) 자신도 자기 로망을 아는 게 중요하다는 면에서 컨셉이라든지, 부각하고 싶은 부분이라든지 적어두면 좋고요.

      그리고 천사형이 아니긴 뭘 아녜요! 과학이든 초자연이든 치유의 힘, 상황의 피해자 (타인의 부당한 비난, 오해 등), 동물 친화력, 자기희생 모티프 좋아하시는 거 다 아는데. 오체스님 순정적 취향은 이미 파악했습니다! (처억)

      Reply
  2. lhovamp

    제 로망은 키보다 더 큰 칼을 휘두르는 무인인 것입니다! (응?) 구체적으로는 담요맨 퇴치의 용사라던가 (…)

    확실히 “플레이가 잘 안되면 그걸로 끝나지 않고 감정이 상하기 쉽다” 라는 부분이 공감이 되네요. 그런 점에서 테스트 플레이를 해 보고 투표를 한다던가 하는 방식은 좋을 것 같고, 또 제 경우 제가 주도적으로 팀을 짤 때는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들에 한정해서 모으고 있지요.

    위의 “취향”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로키님은 왠지 어느 정도 관록이 있는 인물로서, 속이 깊고,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는 능구렁이형 인물을 좋아하시는 것 같이 보입니다.

    Reply
    1. 로키

      뱀프님은 같이 많이 플레이 안해봐서 정확히는 모르지만, 지적인 책사형 인물이 로망이 아니신가 해요. 그리고 컨셉상으로는 종종 동양적인 분위기나 배경을 살리는 쪽 같고요. 뱀프님은 머리가 나쁜 캐릭터를 잡기가 좀 어려우시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능구렁이형 인물은 특히 진행자로서 조연으로 돌릴 때 꽤 하지만, 제 진짜 노ㅁ.. 아니 로망은 자기 감정과 욕구를 주체 못하고 그 결과를 주변과 세계에 강렬하게 표출하는 인물 같아요. 강한 내적 동기로 움직이기에 선이나 악으로 쉽게 나눌 수 없고, 장점과 단점 모두 극명한… 그리고 인간적 허점이 많은 만큼 실수도 저지르고 잘못도 하지만 의도 자체는 나쁘지 않은 아주 인간적인 인물을 좋아하죠.

      그 기본 줄기에서 나오는 구체적인 표현은 비교적 다양해서, 도쿄의 달 때 우메하처럼 내면의 고민과 열정을 감춘 능구렁이형 인물도 있고,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르고 설치는 불량아도 있고, 살짝 맛이 간 외관 아래 나름 충실한 정의관과 진지한 고민을 감춘 양아치 무당(..)도 있었죠. 공통점이라면 말씀대로 표현하는 것보다 속사정이 많고, 또 하나같이 대가 세다는 점 정도인 듯하네요.

      Reply
  3. Wishsong

    나쁜 악당들을 물고문하고, 전기고문하고, 장작불에 집어넣는 정의로운 히어로가 되고 싶어요!
    (반 정도는 사실!)

    Reply
    1. 로키

      승한님은 전에 얘기한 것처럼 어떤 이상에 매진한 나머지 도덕적으로 잿빛 지대에 들어서는 인물이 로망인 것 같더군요. 말하자면 인간성과 일상성을 넘어서는 초월성의 표현? 그런 인물에게는 ‘별로 악하지 않고 입장이 다를 뿐인 적’이라든지 ‘충성의 대상에게 드러나는 어두운 일면’ 같은 걸 던져줘서 갈등을 유발하면 재밌겠죠.

      Reply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